2024.05.17 (금)

  • 맑음동두천 20.8℃
  • 구름조금강릉 24.6℃
  • 맑음서울 22.3℃
  • 맑음대전 22.8℃
  • 맑음대구 24.1℃
  • 맑음울산 21.7℃
  • 맑음광주 21.1℃
  • 구름조금부산 19.1℃
  • 맑음고창 ℃
  • 구름조금제주 20.5℃
  • 맑음강화 17.3℃
  • 맑음보은 21.6℃
  • 맑음금산 21.9℃
  • 맑음강진군 20.0℃
  • 맑음경주시 23.2℃
  • 맑음거제 18.5℃
기상청 제공


의료·제약


'뇌졸중'환자 5명중 4명 60세이상...주의 필요

지난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간 '뇌졸중'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뇌졸중은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뉜다. 뇌경색은 혈관 막힘으로 혈관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 일부가 손상되는 것이다. 뇌혈관이 터져 뇌 안에 피가 고여 뇌가 손상되는 것은 뇌출혈이다.

이번 분석 결과에 따르면 뇌경색 진료인원이 뇌출혈 진료인원보다 5.1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뇌졸중 전체 진료인원 53만 8천 명 중 뇌경색 진로인원은 44만 1천명, 뇌출혈 진료인원은 8만 6천명이었다.

또 뇌졸중으로 진료받은 인원이 2011년 52만 1천명에서 2015년 53만 8천명으로 3.2% 늘었다. 진료비는 2015년 기준 1조 6,847억원으로 2011년 12조 2,995억원 대비 29.6%증가했다. 입·내원일수도 2015년 1,224만일로 2011년 998만일 대비 2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뇌졸중'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연령대별로 비교했을 때 고연령층일수록 진료인원 수가 많았다. 특히 70대가 가장 높았고 그 뒤로 60대, 80대로 확인됐다. 전체 뇌졸중 진료인원의 77.8%를 고연령층이 차지해 뇌졸중 환자 5명 중 약 4명이 60세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대별 인구 비율을 고려한 인구 10만명 당 진료인원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60대보다 70대에서 인구 10만명 당 진료인원 차이가 3,386명으로 가장 큰 차이가 났다. 즉, 70대에서 진료인원이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준홍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 위험인자들 중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장질환, 비만, 대사 증후군 등 대부분이 노인층에서 많이 발생한다"며 "혈관 자체도 고령층이 될수록 탄력이 떨어지고 모양이 변하는 등 퇴행성변화가 오게된다"고 말했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증상발생 후 빠른 치료 시작이 치료와 관리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뇌졸중 증상 발생 시 최대한 빨리 급성 뇌졸중을 치료할 수 있는 시설과 인력을 갖춘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혈전용해술, 혈관확장술, 혈전제거술 등의 초급성기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급성기 치료 후에는 뇌졸중 원인에 따라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방침을 선택한다. 후유증에 대한 재활치료도 가능한 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회복에 좋다.

발병 후 치료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걸리니 증상을 발견하면 신속히 전문의가 있는 병원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뇌졸중 증상은 다음과 같다

▶갑자기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다.

▶갑자기 말을 못하거나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한다.

▶말할 때 발음이 어둔하다.

▶멀미하는 것처럼 심하게 어지럽다.

▶걸으려면 술 취한 사람처럼 휘청거린다.

▶갑자기 한쪽이 흐리게 보이거나 한쪽 눈이 잘 안 보인다.

▶갑자기 심한 두통이 있다.

뇌졸중은 생활 병이라고 할 만큼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위험요인의 관리가 중요하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은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과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으로 조기발견 및 관리에 힘쓰는 것이 필수적이다.

규칙적인 혈압 측정과 혈압관리, 당뇨 관리, 금연과 절주가 중요하다. 동물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싱겁게 먹는 건강한 식사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적어도 일주일에 4일은 하루에 30분 이상 운동을 해야 한다. 일부 심방세동 등의 심장병이나 목 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김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