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규모, 73조3천여억원

[푸드경제TV 이정미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16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3조3천억원으로 ’15년 대비 4.1%, ‘12년 이후 연 평균 2.8%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품산업으로는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용기·포장제조업 등(식품 일반),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 유가공업 등(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건강기능식품) 등이 포함된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6.9%, 국내 총생산(GDP) 대비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자료는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인‧허가, 품목제조보고 정보를 연계하여 식품제조업, 축산물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 식품산업 전체의 생산 현황을 통합·분석한 것으로 식품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연구와 정부정책 수립 등에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분석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3%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 성장률 최고, 홍삼제품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5개사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79% 차지 등이다.

2016년 업종별 생산실적은 식품제조‧가공업이 40조5,549억원(55.3%)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12조8,733억원, 17.6%), 유가공업(6조241억원, 8.2%), 용기·포장지제조업(5조9,806억원, 8.2%, 옹기류포함), 식육가공업(4조7,905억원, 6.5%), 건강기능식품제조업(1조4,715억원, 2.0%), 식품첨가물제조업(1조2,982억원, 1.8%) 순이었다.

2015년과 비교하여 식품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은 각각 3.4%, 29.9%, 12.1%, 6.9% 증가한 반면,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각각 1.7%, 4.3% 감소하였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실적 증가는 ‘15년 백수오 제품에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사건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되었던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16년에는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AI) 및 구제역 등에 따른 여파로 원료 가격이 상승한데다 계란 품귀현상으로 인해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15년 대비 성장률 감소를 나타냈다.

2016년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식품유형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양념육, 우유 등 모두 1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유형별 생산실적은 ‘15년과 동일하게 돼지고기 포장육(5조9,693억원)이 1위를 차지하였고 쇠고기 포장육(4조6,337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9,148억원), 양념육(1조5,211억원), 우유(1조4,130억원)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기타가공품(1조3,607억원), 소스류(조미식품, 1조3,558억원), 탄산음료(1조2,778억원), 유탕면류(봉지라면, 1조2,034억원), 소주(1조1,787억원)가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1인 가구, 맞벌이 가족 증가 등으로 간편식 관련 품목의 생산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저출산의 영향으로 분유‧조제유류 등 유가공품의 생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편식 관련 품목으로는 즉석조리‧섭취식품는 2016년 1조1,440억원으로 도시락은 9,726억원, 김치류는 1조334억원 등이다.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 성장률 최고는 홍삼제품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1조4,715억원으로 ’15년(1조1,332억원)에 비해 29.9%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12년 이후 연평균 8.7% 성장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홍삼, 개별인정형, 비타민 및 무기질, 프로바이오틱스, 밀크씨슬 추출물 순으로 많이 생산되었으며, 이 중 홍삼제품이 전체의 39.7%를 점유하고 있어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등 우리 국민들은 건강기능식품으로 홍삼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제품 생산액은 2016년 5,838억원으로 알려졌다. 식품 등 생산실적은 총 47조8,336억원으로 연평균 2.4%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식품군별로는 기타 식품류(5조6,244억원), 규격외 일반가공식품(4조3,880억원), 음료류(3조6,276억원), 주류(3조2,935억원), 빵 또는 떡류(3조1,321억원), 조미식품(3조326억원)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과자류(2조9,578억원), 면류(2조5,101억원), 커피(1조6,498억원), 식용유지류(1조6,180억원), 코코아가공품 또는 초콜릿류(1조907억원), 김치류(1조334억원) 등이 1조원 이상 생산된 식품군으로 확인되었다.

2015년에 비해 소스‧복합조미식품, 탄산음료, 과채음료‧쥬스 및 커피 생산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조리문화의 다변화, 피자‧치킨‧족발 등 배달식품의 증가, 과일쥬스‧커피 인기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커피 생산액 : (’15) 1조6,074억원 → ('16) 1조6,498억원(↑424억원)

2016년 축산물가공품 생산실적은 24조79억원으로 ’15년(22조7,748억원) 대비 5.4% 증가하여, 최근 5개년 연평균은 3.4% 성장하고 있다. 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 포장육 생산이 전년대비 각각 12.3%, 4.7%, 2.7%씩 증가하였으며,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양념육류도 11.2% 증가하였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 외식‧캠핑문화 등의 정착으로 국민들의 육류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5개사로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4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5곳으로 이들이 ’16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 73조3천여억원 중 9.8%를 차지하였다.

2016년 제조업체별 생산실적은 ’15년 2위였던 롯데칠성음료㈜(1조8,352억원)와 1위였던 ㈜농심(1조5,665억원)이 자리를 바꿨고, CJ제일제당㈜(1조5,529억원), 하이트진로㈜(1조1,26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180억원, 축산물가공업) 순이었으며, ‘15년 7개사보다 2개사(오리온, 롯데제과)가 감소하였다.

식품첨가물 제조업체 생산실적은 ‘15년에 이어 한화케미칼㈜이 1,724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대상㈜(1,230억원), 백광산업㈜(586억원), ㈜엠에스씨(481억원), ㈜엘지화학브이시엠(421억원)의 순이었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는 ㈜한국인삼공사(3,770억원)가 ’04년부터 ’16년까지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콜마비앤에이치㈜(1,027억원), ㈜노바렉스(722억원), ㈜서흥(608억원), ㈜한국야쿠르트(592억원) 등으로 상위 10개 업체의 비중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의 60.6%를 차지하여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정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