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반도체ㆍ화학업종 호황세...국내기업 실적 역대 최고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실적 상승세가 전체 실적상승 견인
사드 직격탄에 음식·숙박업계는 부진

 

[FETV(푸드경제TV)=김수민 기자] 지난해  국내기업의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률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반도체‧석유화학 업종의 수출이 증가세를 보인 결과다. 전체 산업 영업이익의 4분의 1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가 차지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기업경영분석(속보)’을 보면 지난해 전체 산업의 매출액은 1년 전보다 9.9% 늘었다. 2013년 통계가 작성된 이래로 가장 큰 매출액 증가율이다.

 

한은은 외부감사대상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자산 120억원 이상 등) 2만3145개를 대상으로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대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016년 –0.3%에서 지난해 9.5%로 증가 전환했다. 중소기업의 매출 증가세는 7.4%에서 11.3%로 3.9%P 확대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매출은 1년 전보다 각각 9.8%, 9.9% 늘었다.

 

세부적으로 반도체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기계‧전기전자가 –1.8%에서 18.6%로 상승하며 호조를 보였고 유가상승으로 수출 단가가 상승해 석유‧화학 매출도 –2.9%에서 14.5%로 증가 전환했다.

 

아파트 분양도 호조를 보인 여파로 건설은 5.9%에서 11.7%로 상승, 편의점‧온라인판매업체의 성장으로 도소매업에서도 2.7%에서 10.1%로 매출 증가세가 확대했다.

 

한은 관계자는 “제조업‧대기업을 중심으로 주요 제품의 수출 증가세가 확대하며 전체적인 기업 경영지표가 개선됐다”며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인 석유·화학, 기계·전기전자의 기여도가 컸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호조를 보인 반도체의 힘이 큰 것으로 보인다.

 

주요 반도체 제조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2개 업체의 매출액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4%, 제조업에선 13.3%였다. 이들 2곳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산업에서는 25.5%, 제조업에선 39.4%에 달했다.

 

 

매출액이 크게 상승해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7.4%로 사상 최고였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매출에서 영업비용 등을 제외한 수치다.

 

대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7.6%, 중소기업은 6.4%로 1년 전보다 각각 1.4%P, 0.3%P 개선됐다. 제조업(6.5%→8.4%)과 비제조업(5.7%→5.9%)의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상승했다.

 

영업이익을 바탕으로 자본 확충에 나선 기업들이 증가한 덕분에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역대 최저로 떨어졌다. 전체 산업의 부채비율은 1년 전보다 5.9%P 하락한 92.3%다. 제조업 부채비율은 69.6%에서 65.7%로, 비제조업은 144.6%에서 135.4%로 떨어졌다. 부채비율이 0% 미만인 자본잠식상태 기업의 비중은 7.8%로 전년보다 1.0%P 하락했다.

 

그러나 주요 업종 중 음식·숙박업은 저조한 매출을 기록했다.

 

음식·숙박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2016년 7.9%에서 지난해 4.8%,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4.1%에서 2.2%로 떨어졌다. 부채비율은 118.8%에서 130.5%로 상승했다. 지난해 사드 여파로 중국인 입국자가 48.3% 급감하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음식·숙박업은 세전순이익이 2016년 2507억원 흑자에서 작년 7993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전체 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25.1%로 1년 전보다 1.4%P 하락했다.

 

외감기업 업체당 평균 순 현금 흐름은 5억원 순유입으로 나타났다. 유입 규모는 전년 7억원보다 줄었다. 영업활동에서 벌어들인 현금수입으로 단기차입금, 이자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할 수 있을지 나타내는 현금흐름보상비율은 2016년 56.1%에서 지난해 59.5%로 개선됐다.